
라이프치히 2 : 1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코로나 사태로 인해 단판 진행, 라이프치히 4강 진출) 라이프치히 공격 기본 포메이션은 3-4-2-1. 양 윙백인 라이머와 앙헬리뇨가 모두 높게 전진했지만 그 중에서도 앙헬리뇨의 비중이 좀 더 높았다. 은쿤쿠와 올모는 아틀레티코의 정적인 수비방식을 노리고 라인 사이에서 볼을 받기 위해 움직였다. 아틀레티코의 특성상 일단 3선을 넘어서 패스를 받게 되면 비록 위치가 위협적이지 않더라도 수비가 나와서 끊어내기보다는 미드필더를 내리는 판단을 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 그리고 계획대로 미드필더가 끌려나오면 무리한 전진보다는 센터백이 전진해서 윙백과 함께 볼을 받아주며 틈을 노렸다. 이 때 아틀레티코가 올라온 센터백을 견제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미드필더가 라인을 벗어나야만..

아탈란타 1 : 2 파리 생제르망 (코로나 사태로 인해 단판 진행, 파리 생제르망 4강 진출) 아탈란타 공격 기본은 3-4-1-2의 형태. 3백과 두 미드필더를 제외한 나머지 5명의 선수들은 계속해서 자리를 바꾸면서 수비를 흔들었다. 상황에 따라서는 투톱이 상대 수비를 끌고 나오면서 그 자리를 윙백이 치고 들어가기까지 했다. 공격의 핵은 역시 고메즈. 주로 왼쪽 측면에서 수싸움에 가담했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좌우를 가리지 않고 필드를 넓게 활용하며 공격을 지휘했다. 여러 공격 전술 중 가장 효과적으로 먹힌 건 좌측에서 수적 우위를 확보해 상대 미드필더를 끌어들임으로써 상대적으로 허술해지는 중앙과 우측면에 볼을 배급해 빈틈을 찌르는 형태였다. 전체적인 짜임새만 따졌을 때는 공격에서도 아탈란타의 손을 들어주고..

1. 유벤투스 2 : 1 리옹 (총합 2 : 2 / 리옹 원정 다득점으로 8강 진출) 유벤투스 공격 시작 진형은 4-3-3이었지만 실제로는 호날두가 박스 중앙 위주로 움직이고 그 빈 자리를 라비오가 메우면서 4-4-2의 형태로 진행되엇다. 양 미드필더가 측면으로 쏠렸음에도 호날두나 이과인이 적절한 지원을 해주지 못하면서 피아니치가 과도하게 전진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센터백 라인과 미드필더 간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리옹의 투톱이 편안하게 볼을 받는 장면이 잦았다. 게다가 측면에서도 박스 끝으로 밀어붙인 뒤 크로스를 올리는 단순한 방법으로 일관한 탓에 별 다른 재미를 보지 못했다. 리옹 수비 리옹은 5-3-2로 막아내되 윙백이 적극적으로 상대 측면 공격을 억제하고 센터백이 그 자리를 대신하면서 4-4-2 두..